○ 자주 사용하는 표준 입력 방법
- input() :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 함수
- map() :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한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
ex)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
->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입력받은 데이터를 공백 기준으로 구분하고 정수형으로 변환하고 리스트 형태로 나타냄
ex)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의 개수가 많지 않을 때
->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○ 빨리 입력 받기
-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최대한 빠르게 받아야 할 경우 사용
- 파이썬의 경우 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는 sys.stdin.readline() 메소드를 이용.
- 단, 입력 후 엔터가 줄 바꿈로 인식되므로 rstrip() 메소드도 함께 사용.
# readline() 사용 소스코드
import sys
data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
print(data)
○ print 함수
a = 7
# '+'로 결합
print("숫자는" + str(a) + "입니다.") #숫자는7입니다.
# 각 변수를 ,로 구분
print("숫자는", a, "입니다.") #숫자는 7 입니다.
=> 각 변수를 콤마로 구분하여 출력하면, 변수 값 사이에 공백이 삽입될 수 있음.
# f-string 문법 사용
print(f"숫자는 {a}입니다.") #숫자는 7입니다.
※ 자바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문자열과 수를 더하는 연산을 하면 자동으로 수 데이터가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되지만, 파이썬은 안됨
'코딩관련 > 파이썬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oin (0) | 2021.06.24 |
---|---|
global, lambda (0) | 2021.06.02 |
튜플형, 사전형, 집합형 (0) | 2021.05.30 |
리스트 (0) | 2021.05.30 |
수 자료형 (0) | 2021.05.30 |